• 2
    6
136

눈 앞까지 다가와 나를 감싸고

  • 11
191

시리즈에서 이우현은 붓으로 나무의 잎들을 몇 번이나 쌓아 올려, 찍어서 표현한다. 이우현은 유화와 아크릴과 같은 회화 작업 외에 다양한 매체를 시도해왔다. 특히 이우현은 동판화 중에서 붓으로 밑그림을 그려 판을 찍는 기법에 관심이 많았다. 2016년부터는 보랏빛 풍경을 동판화로 그리기도 했는데, 몽환적이고 따뜻한 느낌을 물씬 풍긴다. 이 경험을 살려 2019년부터는 캔버스를 하나의 판으로 삼고 색을 여러 차례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눈꽃나무 시리즈를 시작했다 ​ 눈꽃 나무는 언뜻 보기에는 하얀색으로 덮여 있지만, 사실은 보라색을 비롯한 여러 색을 겹쳐 칠한 뒤 하얀색으로 마무리한 작업이다. 겹겹이 쌓아 오른 파스텔 톤의 나무는 땅에 뿌리를 내린 것일 수도, 편안하고 자유롭게 하늘을 떠다니는 나무일 수도 있다. ​ . “나의 작업을 통해 사람들은 신비한 장소로 여행하게 된다. 누구도 보지 못하는 풍경이지만 이 풍경 속에서 교감을 하고 다른 이들이 바라보는 풍경이 아닌 나의 시선으로 바라본 풍경의 현상이다. 현실적으로 아무데도 존재하지 않는 세상이지만 그 곳은 내가 꿈꾸는 세상 바로 ‘유토피아’이다.” 이 나무는 자신이 기억했던 풍경 속의 나무를 상상으로 재 배치한 무의식 속의 세상이기 때문에, 이곳은 공간감도, 시간도, 배경도 흐르지 않은 비공간(nonplace)이다. 오직 고요함만이 가득한 세계 속에서 휴식을 부르는 고요의 공간이면서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 눈꽃나무의 포근한 색과 자유로움을 보며 고요한 휴식의 시간을 가져보자 풍경 속에서 우리는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나마 휴식을 취하며 쉬어 간다.

286

나는 사랑이 무엇인지 모릅니다. 하지만 사랑하고 있었던 나의 모습은 분명히 기억합니다. 그 순간의 나는 나 자신이면서도 타자 속에 스며든 또 다른 나였습니다. 사랑하는 자는 타자 속에서 다시 소생 합니다. 그렇게 타자 속에서 비친 나의 모습은 내가 미처 알지 못했던 나의 또 다른 이미지였습니다. 이번 작업은 그 잔상을 붙잡으려는 시도입니다. 희미하게 남은 감정, 사라진 순간의 실루엣, 타자의 눈에 비친 나 자신. 나는 그 모든 것의 잔상과 함께 살아갑니다. 이 그림은 사랑의 정의가 아니라, 사랑의 잔상을 따라 그린 나의 기억입니다.

Good Night
2024 • 원화
800,000
84
작품 보기
고차분
고차분집의 산물 - 2511
1,000,000
고차분
고차분집의 산물 - 2510
2,500,000
심봉민
심봉민기억 위에 내려앉는 시간
1,000,000
심봉민
심봉민기억을 따라가는 종이배
1,800,000
심봉민
심봉민다롱이와 달린 언덕
1,800,000
고차분
고차분흔적의 빛 - 2508
2,500,000
심봉민
심봉민가로등 아래의 기억
작품 문의
고차분
고차분집으로 가는 길
작품 문의
심봉민
심봉민기억이 담긴 정원 사이로
작품 문의
고차분
고차분길 위에 무리들 - 2505
작품 문의
  • 7
    1
207

커다란 나무가~~잔디밭엔 또 다른 즐거움~~

  • 8
1,751

그동안 작업했던 ‘너의 위로’ 시리즈 중에 친구의 경험을 작업으로 옮기며, 아버지의 온기를 떠올렸다. 덩치 크고 무뚝뚝했던 곰돌씨와 서로의 마음을 마주하고, 작별을 고하는 마지막 인사로 위로를 전한다. #아트페어 #디자인아트페어

  • 1
    2
302

hug 2025 acrylic on canvas 318x409mm 555museum (오주헌) 지구는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별일 거에요. 그런 지구를 작은 품 안에 안으며, 우리가 지켜야 할 삶의 따스함을 보여줍니다. #555 #555museum #오주헌

164

부탁을 당연히 들어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한없이 친절하다가도 부탁을 거절하는 순간 돌변한다. 부탁이 권리도 아닐뿐더러 부탁을 들어줘야 하는 것이 의무도 아니다. 거절을 받아들이고 승낙은 한없이 고마워하라. 부탁은 거절을 전제한다. 거절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을 하라. 누군가에게 부탁을 하려면 적어도 고개는 숙여야 하지 않겠는가? 부탁을 당연히 들어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한없이 친절하다가도 부탁을 거절하는 순간 돌변한다. 부탁이 권리도 아닐뿐더러 부탁을 들어줘야 하는 것이 의무도 아니다. 거절을 받아들이고 승낙은 한없이 고마워하라. 부탁은 거절을 전제한다. 거절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을 하라. 누군가에게 부탁을 하려면 적어도 고개는 숙여야 하지 않겠는가? #인스파이어드공모전

  • 1
682
agyagy123그린 이의 애착 작품인걸요!!
  • 1
56

마음인지 사람인지 혼란스러운 움직임들의 연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