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내 곁에
2024 • 원화
1,300,000
226
  • 1
1,453

#전시 잠시 쉬어가는 곳 6월이 시작되는 날, 인천으로 떠난 여행에서의 마지막 코스는 휴식이었습니다. 친구들과 각자의 취향에 맞는 음료를 주문하고 앉아서 도란도란 얘기를 나누었던 행복한 기억을 담아 그날 제가 느꼈던 휴식을 전합니다.

무제
2022 • 원화 • 오일
600,000
  • 2
271
  • 1
    1
157

#아크릴화 #풍경화 #풍경 #소형캔버스 #흑백 시장은 노인들의 삶이 응축된 공간이다. 그 노인들을 서양 귀족의 화려한 복장으로 치장해, 한국 전통 시장 속 그들의 노동과 존재가 결코 초라하지 않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누군가에게는 비위생적이고 낡은 공간일지 몰라도, 이곳은 그들의 주름과 세월의무게를 나타내는 공간이자 정겨움과 온기가 깃든 삶의 현장이다.

작품 보기
고차분
고차분집의 산물 - 2511
1,000,000
고차분
고차분집의 산물 - 2510
2,500,000
심봉민
심봉민기억 위에 내려앉는 시간
1,000,000
심봉민
심봉민기억을 따라가는 종이배
1,800,000
심봉민
심봉민다롱이와 달린 언덕
1,800,000
고차분
고차분흔적의 빛 - 2508
2,500,000
심봉민
심봉민가로등 아래의 기억
작품 문의
고차분
고차분집으로 가는 길
작품 문의
심봉민
심봉민기억이 담긴 정원 사이로
작품 문의
고차분
고차분길 위에 무리들 - 2505
작품 문의
  • 2
167
  • 2
    1
589

Bench - Ash, white oak, steel, paint and cork - 매일 마시는 커피지만 오늘은 책상 앞이 아닌 색다른 공간에서 마셔보는건 어떨까요? 본 벤치는 바쁜 하루 중 잠깐의 여유를 제안합니다. 사무용 가구에서 벗어나 벤치에서 짧지만 안온한 쉼을 느껴보세요. 2명 이상의 그룹이 이용할 수도 있고 개인이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도시 속 다양한 구성원이 벤치에 앉아 한 곳에 모여 커뮤니티를 형성합니다. 파란 라인을 통해 불특정 다수가 벤치에 앉음으로써 서로 연결된다는 것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 카페, 갤러리, 미술관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구입니다.

  • 6
    3
159

🏙️ 후에 남겨진 것들_240215 80X80cm 장지에 혼합재료 2024

  • 1
702

「형태의 기억 - 난 나야」 무언가를 선택해야 할 때, 흔들리는 순간이 있다. 주위의 말에 귀가 얇아지고, 나의 기준이 흐려질 때. 그럴 때 나는 나 자신에게 말한다. “난 나야.” 이 말은 나를 붙드는 주문이자 되새김이다. 도자기의 형태를 보며 떠오른 건, 단단한 겉모습보다도 그 안에 축적된 시간과 흔적이었다. 전통의 형태 안에 나의 감정을 담아, 내가 누구인지 다시 선언하고 싶었다. “I AM WHO I AM.” 이 작품은 흔들리는 순간마다 스스로에게 건네는 다짐이며, 외부의 시선에 휘둘리지 않고 나로서 존재하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다.

  • 1
    1
277

제가 2017년 오키나와 여행을 갔을 때 스노클링을 했어요. 그때 그 바다에서 봤던 물고기들, 그 바다의 색. 오키나와 바다를 그대로 담았습니다. 캔버스에 아크릴물감, 2017. (size: 10호) 야광 그림이라서 밝은 곳에서 볼 수 있는 모습과 어두운 곳에서 보이는 모습이 하나에 담겨 있기에 위의 첨부이미지 2장이 그림 한 점의 모습입니다.

hypeN Sales님이 업로드
244

해당 작품의 이미지와 컨디션은 작품 문의하기를 통해 1:1로 상담가능합니다.

239

자아와 인연: 필연의 실 가느다란 붉은 실이, 태어날 때부터 내 안에 감겨 있었던 것처럼. 이 작업은 고유한 자아와, 삶 속에서 만나게 되는 필연적인 인연들이 어떻게 얽히고, 나를 이루어가는지를 이야기한다. 손에 감긴 실은 운명처럼 다가온 관계들이 자아에 스며드는 장면이며, 자아는 인연을 불러들이고, 인연은 자아를 완성한다. 그 실은 결국, 나의 본질이자 피할 수 없는 나의 흐름이다. The Thread of Inevitability: Self and Karma Like a red thread quietly wrapped around me since birth— this work traces how the self, in its essence, meets inevitable ties along the way. The thread around the hand marks the moment when destined encounters shape who I become. The self calls forth karma, and karma completes the self. This thread is both what I am, and the path I cannot help but follow. #인스파이어드공모전

  • 11
    7
116

휴식의 시간을 꿈꾸지만 그렇지 못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