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2
407

탈출. 올라간다 나는. 이제 줄을 끊었다. 희미하지만 확실하게 보이는 빛의 방향으로 간다. 방해하지 마라 나를. 나중에 보자 너희들은. #스타벅스공모전

  • 2
268

설문대 할망이 남겨준 제주는 그 자체로도 아름다웠다. 하지만 우리의 욕심은 제주에게 또다른 것들을 요구하고 있다. 말이 죽어야 알게될까? 무언가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지금의 제주를 바라보고 있을 설문대 할망은 우리가 스스로 깨닫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린피스공모전

  • 1
289

별의 빛나는밤의 소녀 캔버스 테두리는 금색 아크릴로 칠해져있습니다. 실제 색감은 2번째 사진과 유사합니다.

작품 보기
고차분
고차분집의 산물 - 2511
1,000,000
고차분
고차분집의 산물 - 2510
2,500,000
심봉민
심봉민기억 위에 내려앉는 시간
1,000,000
심봉민
심봉민기억을 따라가는 종이배
1,800,000
심봉민
심봉민다롱이와 달린 언덕
1,800,000
고차분
고차분흔적의 빛 - 2508
2,500,000
심봉민
심봉민가로등 아래의 기억
작품 문의
고차분
고차분집으로 가는 길
작품 문의
심봉민
심봉민기억이 담긴 정원 사이로
작품 문의
고차분
고차분길 위에 무리들 - 2505
작품 문의
  • 1
550

<Mon-Star> Mon-은 Mono-, 즉, '하나의, 단일의'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단 한 명의 스타'로 번역되는 본 작품명은 류현진 선수의 별명인 몬스터(Monster)와 동음이의어이기도 하다. 작가가 '몬스터'라는 키워드를 선택한 이유는, 작가의 그림 스타일이 큐비즘적인 요소들을 섞기 때문에 인물을 마치 괴물처럼 보이게 표현해서이기도 하지만, 더 큰 이유는 작가에게 있어서 류현진 선수에 대한 첫 기억이 '괴물'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작가가 프로야구를 처음 보기 시작한 해에 응원하던 팀의 상대 선발투수로 만난 류현진 선수는 말 그대로 '괴물'이었고, 류현진 선수를 만나는 날에는 경기 시작 전부터 졌다고 생각하고 경기를 봤던 기억이 난다. 그 해 말도 안되는 기록을 쓰면서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하기에 이른다. 이후, 류현진 선수는 김광현, 양현종 선수와 함께 국대 좌완 3인방, 또 LA다저스에서는 클레이튼 커쇼, 잭 그레인키 선수와 함께 리그 최고의 공포 선발 3인방을 책임졌던 기억이 난다. 개인적으로는 각 3인방 중에서도 단연 돋보였고, 독보적인 스타이자, 선수였다. Mon-Star이자 Monster에 가장 잘 어울리는 선수였던 것이다. 그러한 점에 착안하고 영감을 받아 작가는 본 작품을 그리기 시작하였고, 각 분야의 수많은 재능들, 이를테면 류현진 선수 최애 작품인 '타짜'의 '고니(화투의 괴물)'나 '야인시대'의 '김두한(싸움의 괴물)'등과 견주어도 대한민국의 대표 몬스터인 '류현진' 선수를 표현한 작품이 'Mon-Star'이다. #류현진 #류현진재단 #류현진선수 #루도 #류니버셜2025 #류현진전시

192

#의미와 상징의 그림 #석류 는 많은 자손, 돈을 담는 주머니 등을 상징합니다. 작가의 기호 #콩병아리가 석류와 함께 소복이 담겨 있어요. #민화 @bona1526

onbox24님이 업로드
  • 4
1,680
  • 1
    1
249

#감정의파편 #불안 #율리아킴 불안은 말이 없다. 대신 조용히, 천천히 무너뜨린다. 그건 마음의 경계에 머무는 그림자처럼, 사라지지 않지만 마주해야만 하는 감정이다. Silence is the voice of anxiety. It doesn’t shout. It just quietly, slowly wears you down. Like a shadow lingering at the edge of your heart— never gone, only waiting to be fa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