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Old Public Bath 72.7x100cm Oil on Canvas 2022
- 2
- 31
with Gallery Belle Vie
캔버스에 아크릴물감과 비즈, 2025. * 야광 그림이라서 밝은 곳에서 볼 수 있는 모습과 어두운 곳에서 보이는 모습이 하나에 담겨 있기에 위의 첨부 이미지 2장이 그림 한 점의 모습입니다. 제목: 선인장의 비명(悲命) 부제 - 사람: 상처를 주기도 하고 치유를 하기도 하는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위치에서 외치고 있다. 살아내 보려고 애쓰며 하루하루를 힘을 내어 살아간다. 때론 아프고 때론 행복하고 때론 슬픔도 겪으면서 삶의 희로애락을 고스란히 겪으며 살아낸다. 가시를 품은 선인장은 상처받지 않기 위해 스스로를 무장한 존재다. 바닷속 깊은 곳, 말라버린 감정의 무덤 위에 선인장들이 묘비처럼 서 있다. 이 그림은 고요한 심연 속에서 소리치는 들리지 않는 비명(悲鳴)과, 운명처럼 주어진 슬픔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비명(슬플 비悲, 목숨 명命)이란 제목처럼 슬픈 운명(命)을 지닌다. 불교에서는 선한 삶을 살아 덕을 쌓으면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작은 개미도 이 세상에 필요하기 때문에 존재한다. 우리의 삶은 주어진 사명 안에서 업보를 풀어가며 사는 고통의 시간들이다. 그래서 삶은 원래 힘들다. 슬픔과 고통이 되풀이되는 생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길은, 어쩌면 스스로를 해치지 않고, 타인을 상처 주지 않는 데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람은 사람들의 영향을 받는다. 때론 공생관계인 생명들처럼 때론 천적관계인 생명들처럼 사람은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존재이자, 치유가 되는 존재이다. 그림 속에서 선인장 주변을 헤엄치는 하얀 물고기들은 그러한 사람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물고기들과 어울려 있는 선인장은 피맺힌 감정을 안고 자신을 지키기 위해 무장하고 있다. 가시는 나를 지키기도 하지만, 때론 상대를 찌르거나 나를 찌르기도 한다. 사람들은 저마다 상처를 주며, 그러면서도 서로를 위로하며 의지하며 살아간다. 선인장들로 이루어진 바닷속 공동묘지처럼.
- 3
김희진, 틀_엠코타운 센트로엘 1-5, 각 22.2x41cm, 비단에 수묵채색, 2022
- 6
일정하게 흐르는 시간 속에서 차곡차곡 쌓아 올려진 남산타워를 보고 있노라면 인생에서의 성장과 노력, 성공을 보는 것 같은 기분이다. N Seoul Tower. ED 1/10. Take 2015. Mak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