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80

Old Public Bath 72.7x100cm Oil on Canvas 2022

여유재순
트렌드
화병
2024 • 원화 • 과슈
150,000
  • 5
1,121

고마워요 ※작품 배송 안내※ 해당 작품은 스타벅스 더북한강R B1 갤러리에서 전시중인 작품입니다. 작품 배송은 전시 종료 후 진행됩니다. (전시 기간 : 9/5-11/5)

  • 3
    1
357

#감정의파편들 #공허 #율리아킴 모든 감각이 멎은 밤, 생각은 안개처럼 흩어졌다. 말없는 어둠 속, 나는 단지 존재했다. A night where all senses froze, Thoughts scattered like fog. In voiceless dark, I merely existed.

  • 4
569

2024 SAlT 설치작품 세상을 썩지않고 바르게하는, 그리고 빛과 바다의 결정체인 소금으로 제작하고 평안과 안녕을 바라고 어둠과 악을 물리치는 공작의 형상으로 구성된 각각의 바다를 떠울리는 피스들로 이루어진 안녕의 기원이다.

207

Fruition 36wx36hx2.8d cm Mixed media on canvas #horin #호린 #자연 #동물

고차분
고차분집의 산물 - 2511
1,000,000
고차분
고차분집의 산물 - 2510
2,500,000
심봉민
심봉민기억 위에 내려앉는 시간
1,000,000
심봉민
심봉민기억을 따라가는 종이배
1,800,000
심봉민
심봉민다롱이와 달린 언덕
1,800,000
고차분
고차분흔적의 빛 - 2508
2,500,000
심봉민
심봉민가로등 아래의 기억
작품 문의
고차분
고차분집으로 가는 길
작품 문의
심봉민
심봉민기억이 담긴 정원 사이로
작품 문의
고차분
고차분길 위에 무리들 - 2505
작품 문의
  • 1
145

제 몸을 태워 모기를 쫓는 캠핑장의 모기향에서 인생의 가을을 앞둔 나를 본다. 곧고 길게 뻗은 모양이 아닌 빙글빙글 회전하는 모기향의 생김을 보며 우리의 인생을 느낀다. 평생을 한 방향으로만 전진할 수 없는 인생은 결국 '나'라는 축을 중심으로 방향을 바꾸며 돌고 돌아가는 것이다. 희미하게 피어오르는 모기향을 바라보며, 새로운 계절을 맞이할 내 인생의 여름과 가을 사이를 태워본다.

346

캔버스에 아크릴물감과 비즈, 2025. * 야광 그림이라서 밝은 곳에서 볼 수 있는 모습과 어두운 곳에서 보이는 모습이 하나에 담겨 있기에 위의 첨부 이미지 2장이 그림 한 점의 모습입니다. 제목: 선인장의 비명(悲命) 부제 - 사람: 상처를 주기도 하고 치유를 하기도 하는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의 위치에서 외치고 있다. 살아내 보려고 애쓰며 하루하루를 힘을 내어 살아간다. 때론 아프고 때론 행복하고 때론 슬픔도 겪으면서 삶의 희로애락을 고스란히 겪으며 살아낸다. 가시를 품은 선인장은 상처받지 않기 위해 스스로를 무장한 존재다. 바닷속 깊은 곳, 말라버린 감정의 무덤 위에 선인장들이 묘비처럼 서 있다. 이 그림은 고요한 심연 속에서 소리치는 들리지 않는 비명(悲鳴)과, 운명처럼 주어진 슬픔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비명(슬플 비悲, 목숨 명命)이란 제목처럼 슬픈 운명(命)을 지닌다. 불교에서는 선한 삶을 살아 덕을 쌓으면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작은 개미도 이 세상에 필요하기 때문에 존재한다. 우리의 삶은 주어진 사명 안에서 업보를 풀어가며 사는 고통의 시간들이다. 그래서 삶은 원래 힘들다. 슬픔과 고통이 되풀이되는 생의 굴레에서 벗어나는 길은, 어쩌면 스스로를 해치지 않고, 타인을 상처 주지 않는 데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람은 사람들의 영향을 받는다. 때론 공생관계인 생명들처럼 때론 천적관계인 생명들처럼 사람은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존재이자, 치유가 되는 존재이다. 그림 속에서 선인장 주변을 헤엄치는 하얀 물고기들은 그러한 사람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물고기들과 어울려 있는 선인장은 피맺힌 감정을 안고 자신을 지키기 위해 무장하고 있다. 가시는 나를 지키기도 하지만, 때론 상대를 찌르거나 나를 찌르기도 한다. 사람들은 저마다 상처를 주며, 그러면서도 서로를 위로하며 의지하며 살아간다. 선인장들로 이루어진 바닷속 공동묘지처럼.

김희진
새소식
  • 3
291

김희진, 틀_엠코타운 센트로엘 1-5, 각 22.2x41cm, 비단에 수묵채색, 2022

  • 6
446

일정하게 흐르는 시간 속에서 차곡차곡 쌓아 올려진 남산타워를 보고 있노라면 인생에서의 성장과 노력, 성공을 보는 것 같은 기분이다. N Seoul Tower. ED 1/10. Take 2015. Make 2023.

96
뮤트4
2025 • 원화
800,000
319